화가들의 나라-유럽

Marc Chagall(마르크 샤갈) / 5 - 사랑(1), with 벨라 로젠펠트

hittite22 2025. 3. 5. 13:59
728x90

 

 

 

(전 회에 이어서)

 

 

 

마르크 샤갈(Marc Chagall)의 여인들

 

1. 벨라 로젠펠드(Bella Rosenfeld)와의 사랑
마르크 샤갈의 첫 번째 사랑이자 평생의 뮤즈는 벨라 로젠펠드였습니다. 벨라는 샤갈이 1909년 러시아 비테프스크에서 예술을 배우던 시절 여자친구였던 테아 브라흐만의 집에 놀러 갔다가 만난 여성입니다. 벨라는 샤갈과 마찬가지로  유대인 가정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었으며, 샤갈의 예술적 성취에 깊은 영향을 미친 여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샤갈은 벨라를 가리켜 "내가 그린 모든 그림은 그녀를 위한 것"이라고 할 정도로 그녀에 대한 사랑이 작품에 많이 반영되었습니다.
샤갈은 1920년대 초에 결혼했고 벨라는 샤갈의 삶에 있어서 불멸의 사랑을 상징하는 인물이 되었습니다.

2. 벨라의 죽음과 그 후의 삶
하지만 1944년 불운하게도 벨라는 결핵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습니다. 벨라의 죽음 이후, 샤갈은 벨라와의 추억을 담은 작품들을 많이 그렸습니다. 샤갈은 벨라의 죽음으로 인한 깊은 슬픔을 작품으로 승화시켰으며, 심지어 "사랑의 가면"과 같은 작품에서 벨라를 천상의 존재로 묘사할 정도였습니다.

3. 버지니아 해거드와 바바
샤갈은 벨라 사후 벨라와의 사이에 태어난 딸 이다의 소개로 알게 이다의 친구를 만납니다. 무려 25살 연하인 버지니아 해거드 맥닐(Virginia Haggard McNeil)라는 여성인데 샤걀의 가사도우미로 들어간 후 그녀는 샤갈의 아들을 낳고 7년을 살았습니다. 하지만 벨라를 잊지 못하는 샤갈 때문인지, 바람이 난 건지 그녀는 샤갈을 떠나고 맙니다.

그후 1952년, 샤갈은 발렌티나 브로드스키(Valentina Brodsky, 애칭 바바)를 만나 재혼합니다. 샤갈이 65세, 바바는 47세 였습니다. 당시 바바는 샤갈의 여비서였는데 둘 사이에 다리를 놓아준 인물은 또 이다였습니다. 이다가 아버지를 많이 챙겼네요. 재혼으로 다시 활력을 찾은 샤갈은 98세까지 왕성한 창작활동을 하며 살았습니다.
발렌틴은 샤갈의 삶과 예술의 또 다른 중요한 시기를 함께한 인물로 자리매김합니다. 두 사람의 관계는 샤갈의 후기 작품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녀와 함께한 시간은 샤갈의 예술적 재발견을 의미하기도 했습니다.

 

 

 

파리시절 작품 속의 벨라 로젠펠드(Bella Rosenfeld)

 

Blue Lovers, 1914, 49 x 44 cm, Private Collection

 

샤갈은 어머니를 졸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미술학교에서 그림공부를 시작했습니다. 1907~1908년 공부를 마친 후 1910년까지 미술학교의 장식 미술가 레옹 바크스트(Leon Bakst) 밑에서 견습생활을 하는데 이때 여자친구의 집에서 만나서 알게 된 벨라와 교제를 시작합니다. 그 후 샤갈은 미술공부를 위해 파리로 유학을 떠나게 됩니다. 파리시절 샤갈의 그림은 고향 비체프스크에 대한 절절한 향수로 가득 차 있는데, 당시 비체프스크는 유대인들이 절반 이상 살고 있던 고향마을이면서 동시에 연인 벨라 로젠벨트가 살고 있는 그립고 그리운 지경이었습니다. 

 

La Mariée, 1912, oil on canvas, 68 x 53 cm, Private Collection

 

이 작품은 샤갈이 결혼 전, 프랑스 파리에 머무르고 있을 당시 제작된 그림입니다. 아마도 고향땅에 있는 벨라를 그리면서 제작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La Mariée(프랑스어로 "신부")>는 현재 일본 개인이 소장하고 있습니다. 근대화를 이룬 일본의 사업가들 중에 인상파 시대의 명작들을 상당량 매입한 사실을 그림을 즐기는 가운데 접하는 사실은 그다지 유쾌한 일은 아닙니다. 한국에서는 이건희 삼성 2대 회장이 미술품 컬렉터로 세계적인 이름을 떨쳤지만 제가 좋아하는 인상파 시대의 그림을 구입할 기회가 적었던 것이 유감입니다.

 

작품속의 여성은 밝고 선명한 붉은색 웨딩드레스를 입고 손에 꽃다발을 꼭 쥐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녀의 흰색 베일이은 길어도 너무 길어서 그녀의 머리를 덮고 그녀의 발까지 닿아 있습니다. 배경은 대조적으로 파란색과 회색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채색된 배경은 밤의 어둠과 어떤 면에서는 비통함과 우울함을 불러일으키는 반면, 신부와 함께 사용된 색상은 들뜬 기분과 행복감을 암시해 줍니다. 배경색과 그녀의 드레스 색의 차이는 신부가 된 여성의 이미지가 관람객의 뇌리에 투영되도록 합니다.

샤갈 팬에 의해 "젊은 사랑에 대한 송가"로 묘사된 이 여성은 보는 사람이 마치 그녀와 결혼하는 사람인 것처럼 대담하고 눈에 띄는 방식으로 관객에게 제시됩니다. 결혼식에는 샤갈의 다른 그림과 20세기의 많은 유럽 예술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악기를 연주하는 동물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첼로를 연주하는 염소가 등장했습니다. 이 그림은 또한 베일에 손을 얹고 신부의 머리 위에 매달려 있는 남자, 거의 뒷전처럼 뒤에 서 있는 교회, 플루트를 연주하는 남자, 땋은 머리를 한 소녀, 팔을 가진 물고기를 보여줍니다. 촛불과 의자, 더 많은 건물, 다람쥐, 수탉도 있습니다.

물고기는 높이 뛰며 마치 음악을 지휘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물고기 위에 테이블이 떠 있고, 염소의 오른쪽에는 클라리넷처럼 보이는 악기를 연주하는 남자가 있습니다. 여자 위에 맴도는 남자는 그녀를 우리에게 소개하는 한편 그녀의 길게 늘어진 베일을 잘 고정되도록 조정해 줍니다. 

 

Over Vitebsk, 1913, oil on canvas, 45 x 56 cm,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Over the Town=Over Vitebsk>은 샤갈과 그의 아내가 그가 자란 작은 마을인 비테프스크 상공(더 정확하게는 Liozna)을 비행하는 모습을 담은 작품입니다. 저는 이 그림을 그린 샤갈의 심정을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저 역시 연애할 때 사랑하는 여인과 손잡고 내가 다녔던 어릴 적 국민학교를 돌아다닌 추억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 속에서 샤갈은 비행슈트를 착용한 모험가가 하늘을 나는 시도라도 하듯이 한 손을 허공을 향해 벌리고 있는 아내를 꼭 안고 있습니다. 그 아래에 있는 집들은 배경에 빨간 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색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집 주변에 나무 울타리가 있습니다. 하늘은 파란색보다 흰색에 가깝고 두 사람은 모든 밝은 색상 중에서 눈에 띄도록 어두운 옷을 입고 있습니다. 샤갈은 그와 그의 아내 벨라 로젠펠트 샤갈이 하늘을 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을 만드는 것을 즐겼습니다.

 

The betrothed and Eiffel Tower, 1913, 150 x 136.5 cm, 프랑스국립박물관연합(RMN)

 

<약혼자와 에펠탑(The betrothed and Eiffel Tower)>는 에펠탑이 등장하는 샤갈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으로, 날아다니는 연인(신부는 아내 벨라이고 신랑은 샤갈 자신)을 그렸습니다. 이 그림에서 중력은 작동하지 않으며 알아보기 쉬운 두 마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림 뒤의 파란색 에펠 탑 아래에 샤갈의 고향마을 비테프스크가 그려져 있습니다. 그림의 오른쪽은 우뚝 솟은 탑과 하늘을 나는 천사 아래 도시의 구부러진 지붕이 펼쳐져 있습니다. 도시는 아시다시피 파리입니다. 다양한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자유를 얻은 파리에 대한 사랑 때문에 샤갈은 파리를 자신의 두 번째 비테프스크라고 부르며 두 도시(마을)를 캔버스 안에 연결하였습니다.

 

그림에는 송아지, 염소, 수탉, 숫양 등 다양한 동물이 등장하며, 그의 그림에 등장하는 일반적인 상징 중 하나인 염소 바이올리니스트도 있습니다. 샤갈 그림은 유쾌하고 열정적이며 바이올리스트를 등장시킴으로써 마치 활기찬 음색을 구가하는 듯합니다. 수탉 그림에서 샤갈은 어머니 뱃속에 있는 아기처럼 그 안에 바이올리니스트를 삽입하였는데, 이러한 임신 이미지는 여성의 내면에서 우러나오는 친절과 강인함을 드러내어, 두 사람을 하나로 이어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염소와 천사가 이중 태양이 불밝히는 하늘로 날아가며 그 아래로는 파리(에펠탑)와 비테프스크가 연결되고 있습니다. 그림 속의 바이올리니스트는 예술가의 창의성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마르크 샤갈에게 영감을 준 핵심 원리는 '사랑'이었습니다. 그에 따르면 사랑은 연인들이 편안하고 멋진 곳으로 떠나게 만드는 중심적인 힘입니다.

 

The Lovers, 1913~1914, oil on canvas, 108.9 x 134.6c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샤갈은 파리에서 그린 작품들로 베를린 개인전을 개최합니다. 그리고 보석상의 딸인 벨라와 결혼하겠다고 벨라 부모의 승락을 받으려 비체프스크로 돌아갑니다. 샤갈은 벨라와 결혼하면 같이 파리로 돌아갈 계획이었습니다. 그런데 1914년 7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샤갈은 러시아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고, 이듬해인 1915년 벨라와 결혼에 골인합니다.

 

Lovers, c1914, pen and ink on paper, 23 x 18cm State Historic and Architectural Museum, Pskov, Russia

 

 

벨라와 결혼 이후

 

Green Lovers, 1915, gouache and oil on paper, 45.5 x 48cm, Private Collection
The Birthday, 1915, oil on cardboard, 80.5 x 99.5 cm, Museum of Modern Art (MoMA), New York City, NY, US

 

<The Birthday>는 샤갈이 1908년에 만난 벨라(Bella Rosenfeld)와 1915년 결혼하기 몇주 전, 그의 생일날 꽃을 들고 찾아온 그녀에 대한 감사와 사랑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샤갈의 대표작 중의 하나입니다. 벨라의 꽃을 받게 된 샤갈은 그녀에게 '뛰어들며' 키스를 하고 놀라는 그녀를 붙잡고 공중으로 데려갑니다.

 

작품에 등장하는 분위기는 20세기 전환기의 러시아 지방 취향의 전형적이고 단순한 인테리어를 특징을 보여줍니다. 두 인물은 일반적인 물리 법칙을 따를 필요가 없는 것처럼 무중력 상태로 떠 있습니다. 심플한 블랙 드레스를 입은 벨라는 축제 꽃다발을 들고 달려가듯 창을 향해 앞으로 기울어져 있습니다. 샤갈은 그녀 위에 사랑스럽게 떠다니고, 머리를 구부리고 비틀면서 그녀에게 키스하고, 그의 몸통은 그녀에게서 멀어졌습니다. 이것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한 친밀한 설정이며 그의 아내에 대한 Marc Chagall의 다른 많은 사랑의 찬사와 마찬가지로 그림은 친밀감, 돌보는 애정, 사랑과 따뜻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Lovers in pink, 1916, oil on panel, 69 x 55 cm, Private Collection

 

1차 세계대전으로 샤갈은 모스크바, 상트 페테르부르크 등지에서 작품활동을 합니다. 그가 다시 파리로 돌아간 것은 1918년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한참 후인 1923년 경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꼭 껴안고 있는 두 잉꼬연인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작품 이름부터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진 남녀임이 분명해 보입니다. 여성의 얼굴은 관객을 향하고 있으나 고개를 숙인 채 연인의 턱에 기대어 눈을 감은 상태입니다. 그녀는 흰색 스커프가 달린 검은색 상의를 입었고 흰색 깃에 검은색 상의를 입는 그녀의 남자는 그녀의 어깨에 손을 꽉 껴안고 있습니다. 배경은 분홍색입니다.

샤갈은 큐비즘을 사용하여 그림에서 사랑을 보여줍니다. 사랑이라는 주제 때문인지 큐비즘 치고 비교적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 집니다. 큐비즘은 1907년경 조르주 브라크, 파블로 피카소 등의 예술가들이 발명한 새로운 형태의 예술입니다. 정육면체처럼 보이는 기하학적 이미지부터 여러 관점을 가진 이미지까지 스타일이 다양합니다. 샤갈 역시 이미지를 만들 때 당시 프랑스 전역을 휩쓸고 있던 혁신적인 새로운 스타일, 즉 큐비즘을 활용하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Lovers, 1916, oil on canvas, 70.7 x 50 cm, Private Collection
Grey Lovers, 1917, oil on canvas, 49 x 69 cm, Private Collection.
The Lovers in Green, 1917, oil on canvas, 70 x 50cm Musée National d'Art Modern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Strawberries Bella and Ida at the Table, 1916, oil on canvas, 45 x 59 cm, Private Collection

 

벨라가 딸 이다(Ida)와 함께 식탁에 앉아 딸기를 먹는 모습을 담은 작품입니다. 시기상으로 보아 마르크 샤갈과 벨라가 결혼한 지 1년이 지났을 어름인데 딸 이다가 폭풍성장을 하였네요.

 

Bella And Ida By The Window, 1916, oil on canvas, 56 x 45 cm, Private Collection

 

창문 밑에서 벨라가 딸 이다(Ida)를 돌보고 있습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딸 이다는 후일 어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상심에 빠져있는 아버지 마르크 샤갈에게 여성 보모를 소개하여 재혼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Bella with White Collar, 1917, oil on canvas, 149 x 72 cm, Private Collection

 

<흰 깃이 달린 옷을 입은 벨라(Bella with White Collar)>는 마르크 샤갈이 1917년에 그린 아내 벨라 로젠펠트의 초상화입니다. 하단에 있는 작은 인물은 샤갈과 그의 딸인 Ida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샤갈은 유대계 러시아인이었기 때문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부분의 미술학교에서 퇴짜를 맞고 짜반체바 미술학교의 유대인 교사 레온 박스트(Léon Bakst)에게서 미술의 기초적인 부분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 시절 샤갈은 종종 고향의 여자친구 테아를 보러 비테프스크를 오가며 지냈는데, 22세가 된 1909년, 여자친구 테아의 집에 놀러 갔다가 그녀의 친구인 당시 14세의 벨라 로젠펠트(Bella Rosenfeld)를 보고 첫눈에 반하게 됩니다. 샤갈은 그날의 느낌과 감동을 잊을 수 없어 기록으로 남겼습니다.

 

"나는 벨라가 내 과거, 현재, 미래까지 언제나 나를 알고 있었던 것처럼 느꼈다. 벨라와 처음 만났던 순간 그녀는 나의 가장 깊숙한 내면을 꿰뚫는 것처럼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나는 그녀가 바로 나의 아내가 될 사람임을 알았다." -샤갈의 자서전-

 

샤갈과 벨라

 

벨라와의 짜릿한 만남을 간직한 채 샤갈은 19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미술공부를 위하여 프랑스 파리로 떠납니다. 당시 유행하던 입체파 화가들의 그림을 섭렵하고, 야수파 앙리 마티스의 색채도 공부한 그는 1913년 베를린에서 개인전을 열어 호평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듬해 샤갈은 러시아로 귀국하는데, 이는 언어의 장벽과 외로움이 컸었던 이유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벨라에 대한 그리움 때문이었습니다.

곧바로 비테프스크로 달려간 샤갈은 벨라에게 청혼합니다. 벨라 또한 샤갈을 좋아했지만, 부유한 보석상 막내딸이었던 벨라의 부모는 가난한 미술가 샤갈과의 결혼을 쉽게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샤갈은 벨라에 대한 자신의 사랑, 미술가로서 자신의 비전을 제시하며 부모님 설득에 성공하여 벨라가 20살이 되던 1915년 결혼에 골인하게 됩니다. 결혼한 그해 샤갈과 벨라는 외동 딸 이다(Ida)를 얻습니다.

위 그림 <흰 깃이 달린 옷을 입은 벨라(Bella with White Collar)>는 파리의 퐁피두 센터에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2016년 퐁피두센터 전시장을 돌아보았던 저는 왜 저 그림을 만났던 기억이 없는거죠?

 

The Promenade, 1917, 169.6 x 163.4 cm, the Israel Museum of Jerusalem

 

1917~1918년 겨울 동안, 비테프스크 풍경을 그린 직후 샤갈은 그의 가장 유명한 구상 작품인 <Over the Town>과 <The Promenade>를 제작하였습니다. 그 작품들 역시 비테프스크(Vitebsk)를 배경으로 그렸는데 그림은 그가 성취한 예술적 성취와 더불어 삶에 대한 넘치는 열정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정치적 분위기가 주요 고려사항으로 등장합니다. 당시 막 일어난 10월 혁명으로 러시아 내에는 짜릿한 자유와 낙관주의가 팽배했으며, 유대인들에게 혁명은 진정한 해방을 의미했습니다. 마침내 그들에게는 국가의 다른 모든 시민과 동일한 권리를 가질 자격이 주어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외부 세계의 여러 역경 속에서도 삶에 황금빛을 발하는 벨라와 함께하는 행복도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 대형 작품은 삶에 대한 의기양양하고도 들뜬 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고향을 배경으로 등장하는 중심모델은 벨라의 차지가 되었습니다. <Over the Town>에서 마법에 걸린 한 쌍은 Vitebsk의 지붕 위로 즐겁게 떠 있습니다. <The Promenade>에서는 환희에 찬 벨라가 바람을 맞은 깃발처럼 펄럭이며 기쁨에 넘쳐 웃고 있고, 가장 좋은 옷을 입은 샤갈의 팔에 하늘에 꽂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큐비즘의 영향을 받아 제작된 그림이라 호감을 느끼지는 못했습니다.

 

Over the town, 1918, 45 x 56,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도시 위에서(Over the Town)>은 모스크바 트레차코프 국립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큐비즘계열의 작품입니다. 단순히 색채의 화가로 이해하고 있는 샤갈의 작품 중에는 의외로 큐비즘(입체파)으로 분류되는 작품이 많습니다.

 

작품 속의 남자는 마르크 샤갈이며, 여인은 그가 사랑했던 아내 벨라 로젠벨트입니다. 크고 검은 눈에 진한 갈색 단발머리의 여인을 그의 그림에서 발견한다면 그것은 영락없이 벨라입니다. 샤갈은 그들이 나눈 사랑이 중력보다 강한 듯 자신과 벨라가 여러 도시를 날아다니는 모습으로 묘사했습니다. 그림 속에서 이들은 행복한 모습으로 샤갈의 고향마을인 비테프스크 창공을 날아가고 있습니다.

 

Bella in Mourillon, 1926, oil on canvas, 47 x 65cm, Private Collection

 

Mourillon(무리용)은 프랑스 남부 툴롱(Toulon)에 위치한 지역입니다. 아름다운 해변과 지중해의 풍경으로 유명한 곳인데, 샤갈과 벨라가 머물렀던 장소였습니다.

 

Bouquet of Flowers with Lovers, 1926
The Violinist, 1926~1927, gouache, India ink and charcoal on paper, 49.5 x 65cm, Private Collection
Bouquet of Flowers with Lovers, 1927
Lovers with Flowers, 1927, 100 x 89 cm, ​Israel Museum, Jerusalem, Israel

 

환상이란 반드시 초자연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을 전하는 그림 같습니다. 샤갈이 작품 속에서 연인과 꽃의 결부시키는 경향이 드러난 시기는 대략 1920년대 중반으로 추정됩니다. 이 시기부터 꽃다발이 작품속에 등장하여 뚜렷한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였는데, 이 스타일의 시초는 백합꽃그늘에서 포옹하는 남녀를 그린 5년 전의 <입맞춤>이라 할 수 있습니다.

 

초점을 전경의 꽃과 잎사귀에 맞추어 뚜렷하게 그리고, 포옹한 사람은 멀찍이 흐리게 그린 것이 이 작품의 특징입니다. 뉘앙스로서의 터치, 정감이 깃든 인물의 두터운 마티에르... 이 스타일의 발견은 샤갈의 연인 작품에 매우 중요하게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The Bride with Two Faces, 1927, oil on canvas transposed, relined, 253.4 x 185.4cm, Private Collection

 

당연한 추정이겠지만 이 그림의 인물모델, 이를테면 신부는 벨라 로젠펠트이며 신부의 얼굴에 붙여 그린 얼굴은 신랑인 마르크 샤갈이라고 여겨집니다. 신부가 들고 있는 꽃다발은 부케인가요? 엄청나게 큰 꽃다발입니다.

 

Lovers and the Eiffel Tower 1928, oil on canvas, 88.9 x 116.6cm

 

프랑스 파리를 배경으로 달달한 표정의 연인을 그렸습니다.

파리의 분위기가 붉게 물들었고,

에펠탑조차 붉은 색깔로 아름답게 빛나고 있습니다.

인생의 황금시대, 혹 샤갈은 자신이 인생의 전성시대를 보내고 있음을 확신한 모양입니다. 

 

The Cock, 1928, oil on canvas, 81 x 65.5 cm, Museo Thyssen-Bornemisza, Madrid
Les Amoureux, 1928, oil on canvas, 117.3 x 90.5 cm [private Collection]

 

마르크 샤갈은 러시아 고향에서 약 10년간 머물렀다가 1923년 파리로 돌아와서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행복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아내 벨라, 딸 이다와 함께 센 강 계곡과 프랑스 남부를 여행하며, 독특한 색채와 형태로 작품에 영감을 준 무성한 풍경을 감상했습니다. 샤갈과 벨라가 밤하늘에 부드럽고 평화롭고 떨어질 수 없이 떠다니는 모습을 묘사한 <Les Amoureux(사랑)>는 이 커플이 인생의 새로운 단계에서 느끼는 만족감을 그림으로 구현한 작품입니다.

 

샤갈은 말합니다.

"그림과 색채가 사랑에서 영감을 받는다는 것은 사실이 아닌가?"

 

Lovers, 1929, oil on canvas, 55 x 38 cm, Museum of Art, Tel-Aviv, Israel
The Walk, 1929, oil on canvas, 55.5 x 39 cm, Private Collection

 

아니, 이 싸람들이 노상에서 육구 자세를..

아무리 좋다고 해도 그렇지..

The Woman and the Roses, 1929, oil on canvas, 101.3 x 80cm, Museum of FIne Arts, Houston, Texas
The angel and the reader, 1930, Gouache with encaustic and oil paint on cream wove paper, 63.6 × 48.8 cm
Lovers in the Lilacs, 1930, oil on canvas, 128 x 87cm, Private Collection
Married Couple, 1935, oil on canvas, 148 x 80.8cm, Private Collection
Bouquet of Flowers, 1937, oil on canvas, 99 x 71cm, Private Collection
The Blue Angel, 1937~1938, Gouache and pastel on paper, 54.6 x 68.6 cm
Beauty and the Beast, 1938
The Family, 1938, gouache and pastel on paper, 48.3 x 66cm
Christmas Fantasy, 1938, watercolour, gouache, coloured crayons and pen and ink on paper, 68.2 x 54.9cm Private Collection
Midsummer Night's Dream, 1939, oil on canvas, 89 x 117cm, Musée de peinture et de sculpture, Grenoble, France

 

샤갈은 자신이 깨어나지 않는 몽상가라고 말했습니다. 니스의 마크 샤갈 성서 메시지 박물관 관장인 장 미셸 포레(Jean-Michel Foray)는 "일부 미술사가들은 그의 상징을 해독하려고 했지만 그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것들은 꿈속의 인물들처럼 단순히 그의 상징의 일부이기 때문에 해석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한때 그의 친구이자 라이벌이었던 파블로 피카소는 러시아인의 빛에 대한 감각과 이미지의 독창성에 감탄했습니다. "나는 그가 그 이미지를 어디에서 얻었는지 모른다...."

마르크 샤갈은 아주 오랫동안, 아니 거의 평생에 걸쳐 자신의 고향 마을에 대한 애착을 유지하면서 프랑스에서 생애의 대부분을 보냈습니다. 샤갈이 보여준 야수파와 입체파의 영향이 결합된 프리즘을 통한 일상의 현실에 대한 관찰은 Andre Breton의 표현을 빌리면 "완전한 서정적 폭발"로 전달됩니다. 샤갈은 예를 들어 <한여름 밤의 꿈>에서와 같이 그의 내면의 세계에서 어떤 진실이라도 피하고 싶어 하는 인물을 만들어 냈습니다. 파리 시대에 그려진 이 그림의 주제는 실프와 연인들이 사는 꿈같은 숲 속에 자리 잡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극입니다. 마법에 걸린 요정들의 여왕 티타니아는 당나귀 머리를 한 직공 바텀에게 반합니다. 흰 웨딩드레스와 베일을 두른 여성은 그 시대의 여러 작품에서 거의 동일한 형태로, 때로는 같은 파란색 부채로 반복되어 등장하고 있습니다. 날개 달린 존재(천사)와 바이올리니스트도 종종 묘사됩니다.

 

In the Night, 1943, oil on canvas, 47 x 52.4cm, Philadelphia Museum of Art, PA
Mexican Serenade, 1943, gouache, pastel, watercolour and brush and ink on paper, 45.8 x 34.8cm, Private Collection
The Bride, 1944, 24.5" x 32"
Hommage au Passe, 1944, oil on canvas, 71 x 75.5cm, Private Collection

 

 

 

 

 

 

(계속)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