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내여행지 추천 38

서울 - 북촌 갤러리 투어

아주 쉽게 설명하자면경복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있는 동네가 '북촌'이요,왼쪽에 있는 동네가 '서촌'이라고 보면 됩니다.이 두 곳에 서울의 옛날 집과 거리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어 귀중한 관광자산이 되고 항상 국내외 여행객들이 붐비는 데요,서울의 유명 갤러리들 상당수 또한 이곳에 모여있습니다.그림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서울 중심가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이지요.. 북촌 하면, 다시 가회동, 삼청동, 송현동 등을 떠올리게 됩니다.그런데 이곳 북촌이 원래부터 갤러리가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1997년 금융위기가 닥쳐온 이후 강북의 인사동과 강남의 청담동으로 포진해 있던 서울의 갤러리촌에 변혁의 바람이 불어오게 됩니다. 경제불황의 비바람과 임대료 폭탄을 피하여 인사동에서 더 안쪽으로 숨어 들어간..

서울 - 서촌 갤러리 투어

갤러리 순방을 여행의 목적으로 삼는 사람도 있겠지만저는 갤러리에 가서 그림을 감상하는 목적을 성취하는 방편으로 갤러리 정보를 꿰차고 있는 것 역시 중요한 여행의 요소라 생각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갤러리의 양과 질이 올라가면 더 좋은 여행을 경험할 수 있겠지요. 한국의 갤러리 역시 외국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사설 갤러리는 공간을 확보하는데 재정적인 부담이 뒤따르므로, 넓은 전시장을 확보한 곳을 찾아보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고 현실입니다. 그러다 보니 고만고만한 전시공간으로 오픈한 곳이 부지기수인데 옆나라 일본도 비슷합니다. 유럽의 경우 유명 미술관 찾아다니는 것만으로도 허덕이는 여행길이어서 사설 갤러리까지 세부적으로 찾아다니며 둘러보진 못했습니다. 다음 여행 기회가 오면 시도해볼 작정입니다...

양양 - 해파랑길 41코스

여름철 해수욕장을 끼고 트래킹과 물멍 때리기 좋은 해파랑길 41코스를 소개합니다. 해파랑길 41코스 해파랑길이란 부산 오륙도 해맞이 공원에서 강원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동해안의 해변 길, 숲길, 마을길 등을 이어 총 50코스로 이루어진 750km의 걷기 좋은 여행길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양양을 대표하는 걷기 코스는 총 4개 코스(41~44)로 이루어진 해파랑길입니다.그중에서 41코스(12.4km)에서는 강원 3대 미항 중 하나인 남애항과 더불어 휴휴암, 매호, 해변 절경이 어우러진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바닷가 암자인 휴휴암은 ‘쉬고 또 쉬라’는 의미처럼, 바다와 맞닿은 고요한 공간에서 깊은 휴식을 제공해 줍니다. 해파랑길 41코스는 강릉에 위치한 주문진항 시작으로 황호해변, 남애항, 광진해변을..

양양 - 설악산 주전골 계곡

여름철, 동해바다로 여행 떠나거나 돌아오는 길에 계곡의 비경을 감상하기 좋은 코스를 소개합니다.물론 계곡에서 물놀이를 해도 좋을 장소입니다.이름하여 주전골 계곡입니다. 주전골 계곡 가시는 법 대중교통(시외버스) 이용시서울 동서울종합터미널 - 오색버스터미널 직행버스(하루 6회 운행, 2시간 40분 소요)동서울 종합터미널 - 양양, 양양 - 오색 자가용 이용 시오색약수터 근처 오색공영주차장 또는 오색약수터 주변 사설 주차장 주전골 계곡 개요트레킹코스 오색분소 - 오색약수터 - 오색석사(성국사) - 선녀탕 - 금강문 - 용소폭포 - 망경대(560m) - 남설악약수터 (총 5.2㎞, 약 4시간 소요)내비게이션 주소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1-1 / 강원 양양군 서면 대청봉길 58-52주전골 계곡은 설..

서울 - 명동대성당

그해 봄날, 서울 촌놈처럼 생전 처음 명동성당을 다녀왔습니다.남산에 갔다가 통신탑에 올라 가보고 내려오면서 케이블카를 타고 도심으로 진입하였고그곳에서 걸어서 명동성당을 찾아갔습니다.잠시 사귀던 여성과 둘이서... 명동성당에 진입하여처음 접근한 곳은 1898 광장이라는 곳이었습니다. 1898 광장 1898은 많은 이들과 ‘소통,하고 '나눔,을 '실천,하고자만들어진 복합문화공간입니다. 한마디로 신자와 비신자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라는데 왜 성당 안에 저런 공간이 들어서 있는지는 지금도 납득하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복합문화공간이라는 말에 걸맞게 둘러보며 이용하기에는 편리합니다. 지하 1층에는 1898 갤러리도 있습니다. 그해 봄 저곳을 방문했을 때 전시되던 작품들을 몇 장 소개하겠습니..

남해 - 독일마을

독일마을 조성 독일마을 조성은 1997년 한국 최초로 사계절 푸른 잔디구장을 남해군에 조성하면서 그 잔디를 수입한 독일 노드프리슬란트군과 자매결연을 맺었는데 그 과정에서 도움을 준 베를린과 함부르크 교민들이 한국정부에 독일마을을 조성해 달라고 부탁하면서 건설이 시작되었습니다. 오, 독일 측에서 요청이 있었군요. 전시행정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관광지인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당시 남해군수였던 김두관 군수(아니, 이 양반?)는 해외에 있는 자국민을 국내로 유치하는 건 어렵다며 난색을 표하는 외교부를 설득하며 2000년, 2001년에 걸쳐 베를린, 함부르크, 본, 마인츠, 카셀 등지에서 4차례에 걸쳐 독일순회 투자유치 설명회를 열고 50여 명의 투자 의향을 받았습니다. 이곳은 독일식 건축방식으로 ..

남해 - 금산 보리암

남해금산 가시는 길 대중교통 이용기준 서울남부터미널 → 남해시외버스터미널 첫차 07:10 막차 18:00 (1시간 ~ 1시간 10분 간격)소요시간 : 4시간 30분 / 요금 : 23,700원대전복합터미널 → 남해시외버스터미널10:00 / 13:30 / 18:30소요시간 : 2시간 30분 / 요금 15,600원부산서부터미널 → 남해시외버스터미널첫차 05:20 막차 19:20 (50분 ~ 30분 간격)소요시간 : 2시간 30분 / 요금 : 11,900원...................남부시외버스터미널(공용터미널) → 금산 보리암1)농어촌버스 : 상주-미조선 버스 500번 탑승하여 복곡(종점)에서 하차하시면 됩니다. 8시 출발, 17시 40분 복귀하므로 시간유의하셔야 합니다. 2)뚜벅이버스 : 탑승 후 ..

남해 - 상주 은모래 비치

남해 상주 은모래 비치..예쁘고 아름다운 해수욕장이자 힐링해변입니다.저에게는 50년 지기 교회친구가 은퇴 후 내려가서 펜션을 운영하고 있어 아주 각별한 곳이기도 합니다. 친구가 운영하는 펜션이 어디냐구요? 남해 쁠라야라는 펜션인데 은모래비치에서 걸어서 5분~10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음~ 그 친구네 펜션 사진도 하나 올려드리죠. 이건 친구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인 것 같아서... '쁠라야'라는 이름을 지은 것은 친구가 젊어서 대기업 해외 사업부에 근무하며 멕시코에 나가 있었는데 이 멕시코란 나라가 스페인 영향권에 있던 국가라서 스페인어를 배워야 했기 때문이죠. 네, 쁠라야는 프랑스어가 아니라 스페인어입니다. 남해 쁠라야 연락처는 조기 펜션 윗대가리에 똭 적혀있네요.055-863-2342 "쁠..

강화 - 고려궁지

강화읍 성공회 한옥성당에서 고려궁지로 가는 길목에 진무영 순교성지가 있습니다.강화성당이 세워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진무영 순교성지 19세기 후반, 강화도에서는 신앙문제로 첨예한 갈등이 일어납니다. 1866년 병인(丙寅)년부터 시작한 박해로 강화도에서 수많은 신자들이 순교합니다. 이름이 알려진 순교자로는 1868년 5월 22일 진무영(鎭撫營)을 필두로, 최인서(崔仁瑞, 요한, 애오개 회장, 59세), 장치선(張致善, 張周基 요셉 성인의 조카, 59세), 박서방(朴順集 베드로의 형), 조서방(趙參奉의 부친, 50여 세) 등이 있습니다. 최인서와 장치선은 병인박해(1866-1871)로 성직자 12명중 9명과 신자 1만여 명이 처형되자 생존 성직자 중 한 분인 리델(Ridel) 신부를 배로 천진(天津)까지 ..

강화 - 성공회 한옥성당 / 3 - 외부 및 주변부 풍경

(전회에 이어서) 내부를 둘러본 후 들어온 입구로 다시 나가려는데 벽체에 걸린 성화와 함께대리기도문이 부착된 것이 보입니다.그 내용이 가슴에 들어와 칼날처럼 박힙니다. 다시 성당에서 나와 주변을 둘러봅니다.성공회 한옥성당의 아름다움을 좀 더 쳐다보며 뇌리에 담아 가기 위함입니다. 이 안내문을 보면 큰나무 보리수는 1900년 영국선교사 트롤로프 신부가 인도에서 10년생 보리수나무 묘목을 가져와 심은 것이라고 합니다. 성공회는 각 나라와 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는 토착화 신학의 선교정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성당 건물을 한식으로 지으면서 보리수와 회화나무를 각기 본당 좌우측에 심었던 모양입니다. 그런데 2012년 태풍 볼라벤으로 유교를 상징하는 회화나무가 망실되었군요. 한국 가톨릭은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