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5/04/18 2

서울 덕수궁 / 3 - 서구양식의 건축물

(전회에 이어서) 20세기에 접어들면서 대한 제국의 정궁이었던 덕수궁에는 전통적인 건축양식과 조금 다른 건물과 서구 건축기술로 건설된 된 건축들이 들어서게 됩니다. 대한 제국을 선포한 후 근대화된 서구 열강과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자주독립국가를 유지하려 했던 일환이었습니다. 이제 중국에서 벗어나 서구 사회 구성원들과 교류를 통하여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려 한 한 남자이자 군주, 고종이 벌인 일이었죠. 그는 서양 재정고문의 제언을 받아들여 전통 한옥의 조선 궁궐 안에 일본 천황조차 시도할 엄두를 내지 못했던 서구식 석조전을 건설키로 결단 내린 것입니다. 그리하여 오백 년 궁궐에 새로운 옷 - 근대의 건축 - 이 덧입혀지게 됩니다. 그의 마음으로 들어가 귀 기울여 봅니다. 아마도 황제는 서구 열강과..

서울 덕수궁 / 2 - 중화전과 석어당

(전회에 이어서) 예전 지도가 아직도 인터넷에서 활보하고 있습니다. 원래 위치로 이전하기 전의 광명문이 왼쪽 하단에 보이고 덕홍전 앞 원래 광명문이 세워진 위치에는 생뚱맞게 세종대왕상이 서 있습니다. 중화문 중화문은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으로 드나드는 정문입니다. 중화문은 앞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공포양식은 중화전과 같은 다포양식(조선 후기의 수법)으로 지어졌습니다. 다포식이란 처마의 하중을 받으며 장식도 겸하는 공포를 기둥 위뿐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세 개씩 배치한 방식을 말합니다. 1902년 건립된 중화문은 중화전의 정문으로 중화전과 같이 원래 2층 건물이었으나 화재 후 중화전이 단층으로 축소되면서 1904년 격을 맞추어 단층으로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