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들의 나라-유럽

Edgar Degas(에드가 드가) / 4 - 발레수업과 공연

hittite22 2025. 4. 9. 01:28
728x90

 

 

 

 

 

(전회에 이어서)

 

 

 

 

 

Edgar Degas (1834-1917)

 

 

발레

 

Musicians in the Orchestra(Portrait of Desire Dihau), c.1870, Oil on canvas, 48.9 x 59.7 cm [Fine Arts Museums of San Francisco]
Orchestra of the Opera, c.1870, oil on canvas, 56.5 x 45cm, Style: Impressionism [Musée d'Orsay, Paris, France]

 

이 그림은 드가의 친구였던 바순 연주자 데지레 디오(Desire Dihau)를 주인공으로 그린 그림입니다. 하지만 정확하고 상세하게 묘사된 중앙구역에는 다양한 군상의 인물과 악기가 상세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오케스트라 단원들이 누구인지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을 정도입니다. 반면, 무대 위의 무희들은 스케치 수준으로 흐릿하게 표현되어 있고 신체의 일부는 잘려있습니다. 이 작품을 그린 드가의 시선은 임의적이고 특이한 각도를 가졌으며, 인물들의 모습은 마치 사진기로 한 순간을 포착한 것인 듯합니다. 실내 장면을 그린 것이지만 균형이 완벽하고 한편으로 극적인 느낌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드가가 파리 오페라 하우스를 드나들 수 있었던 것은 바순 연주하는 친구를 둔 덕분이라고 합니다. 드가는 처음에 피트에 있는 관현악단 연주자들을 그리다가 점점 무대 위로 시선을 옮겨갑니다. 그렇지만 무희들의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는데 그것은 13세 때에 어머니가 삼촌과 놀아나는 장면을 목격한 이후 여성에 대한 혐오증이 내면에 또아리를 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습니다.

 

Musicians in the Orchestra, 1872, oil on canvas, 49 x 69cm [Städel, Frankfurt am Main, Germany]
Ballet Scene from Robert la Diable, 1871, Oil on canvas, 66 x 54.3 cm

 

드가가 이 그림을 그렸을 때, 자코모 마이어베어(Giacomo Meyerbeer)의 오페라 로베르 르 디아블(Robert le Diable)은 40년이나 지났고, 나이를 먹고 있었습니다. 중앙에 있는 남자처럼 공연에 무관심한 채 관객에게 쌍안경을 겨누고 있는 모습도 볼 수 있는 상황이었죠. 하지만 드가는 오페라를 좋아했고, 특히 3막에 나오는 장면을 좋아했습니다. 이 장면에서 수녀들이 죽음에서 일어나 달빛 비치는 폐허 속 수도원에서 유혹적으로 춤을 춥니다.

 

이 그림은 1872년 초에 전시되었고, 캔버스에 날짜가 새겨져 있습니다. 드가는 나중에 오페라에 출연한 장-바티스트 포르(Jean-Baptiste Faure)를 위해 더 큰 버전(런던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을 제작했습니다.

 

The Ballet from "Robert le Diable", 1872, oil, 76.6 x 81.3cm [Victoria and Albert Museum(London)]

 

바로 이 작품입니다.

관객을 향해 망원경을 들이 내밀었던 양반이 자세를 바로 잡았군요. 

 

 

발레수업

 

Dance Class at the Opera, rue Le Peletier, 1872, oil on canvas, 33 x 46cm [Musée d'Orsay, Paris, France]

 

<Le Peletier(르 펠르티에)거리의 오페라 극장의 무용수업>은 1872에 그려진 작품입니다. 에드가 드가는 1870년대부터 특히 발레리나 그림을 많이 그렸는데 이는 형의 사업실패로 집안이 몰락하여 경제적인 이유로 그림을 그리지 않으면 안 되었던 상황과 연관이 있습니다.

 

Ballet Rehearsal, 1873, The Fogg Art Museum, Cambridge, Massachusetts
The dance class c.1873, oil on canvas, 47.6 x 62.2cm [National Gallery, Washington D.C.]
The Rehearsal of the Ballet Onstage, ca.1874, Oil colors freely mixed with turpentine, 54.3 x 73cm [Met]

 

<무대 위의 발레 리허설> 장면에는 세 가지 유사한 버전이 있으며, 이들의 정확한 관계는 수십 년 동안 학자들을 괴롭혔습니다. Musée d’Orsay, Paris에서 소장하고 있는 그리사유(Grisaille)로 그린 가장 큰 작품은 1874년 첫 인상파 전시회에 출품되었습니다. 같은 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다른 두 작품은 메트로폴리탄 컬렉션에 있습니다. 이 그림은 아마도 더 자유롭게 취급되는 파스텔 버전보다 앞선 것 같습니다. 드가가 구도에 부여한 중요성은 전경에서 등을 긁는 댄서부터 평평한 무대 옆에서 하품하는 여성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인물에 대해 만든 준비 드로잉에서 분명합니다.

 

Ballet Rehearsal, c.1875, Gouache and pastel over monotype on cream laid paper, 56.5 x 70 cm, Style : Impressionism

 

발레 리허설 중인 장면을 그린 그림입니다. 왼쪽의 빨간 넥타이를 맨 아저씨는 드가의 발레교습 그림에도 등장하는 당시 파리를 대표하는 유명 안무가 쥘 펠로이구요, 오른쪽엔 스폰같은 포즈를 취한 채 검은색 정장의 남자가 휘하의 사람들을 지켜보듯 서 있습니다. 이게 당시 파리의 발레 공연 연습장 풍경이라고 합니다.

 

The Dance Class(무용수업), 1874, oil on canvas, 83.5 × 77.2cm, Style: Impressionism [Met]

 

무용수업을 다룬 드가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것입니다. 이 작품은 1881년 작 <발레수업>과 함께 공간 구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용수들은 저마다 개별적인 행동을 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피아노 위에 앉아 있는 무용수부터 안무가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무용수들에 이르기까지 각자가 전체의 일부분으로 짜임새 있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이 장면은 한 무용수가 애티튜드를 실행하는 동안 24명의 여인들—발레리나와 그 어머니들—이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유럽의 가장 유명한 무용수이자 안무가인 쥘 페로가 파리 오페라 극장 연습실에서 가상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The Dance Class, 1875, Oil on Canvas, 85 x 75cm [Musée d'Orsay]

 

<Dance Class>는 당대의 유명한 무용수이자 발레 안무가인 쥘 페로가 파리 오페라 극장 연습실에서 발레리나를 교습하는 그림입니다. 백발의 쥘 페로는 한 사람씩 불러내어 어떤 동작을 시켜보는 장면입니다. 발레리나들은 자기 순서가 오기를 기다리며 몸을 비틀어 등을 긁기도 하고, 머리나 귀걸이, 옷매무시를 가다듬고 있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오른쪽 멀리 보이는 부인들은 어린 발레리나의 어머니들입니다. 그녀들은 아마도, 무도회장에 오는 재력가에게 자신의 딸을 소개하거나 혹은 그들의 유혹으로부터 딸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업에 참관하는 것일는지도 모릅니다.

1870년대 중반에 그려진 이 작품과 파리 오르세 미술관에 있는 이와 유사 작품들은 드가의 대표적인 인물화 시리즈로 손꼽힙니다. 이 그림은 1872년 오페라 가수 겸 수집가인 장 바티스트 포르가 의뢰한 것으로, 드가가 의뢰를 수락한 몇 안 되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그는 약 2년에 걸쳐 작업하여 마침내 이 그림을 완성하였습니다.

 

Dancers Practicing at the Barre, 1877, Oil on Canvas, 75.6 x 81.3cm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City]

 

 

발레공연

 

The Rehearsal, 1877, Oil on Canvas, 58.4 x 83.8 cm [Burrell Collection, Glasgow, Scotland.]
The Star, c. 1876-1878 [Philadelphia Museum of Art]
The Star(에투알), 1878, Pastel on Paper, 60 x 44cm [Musée d'Orsay]

 

에투알(프랑스어로 '별(스타)')은 발레단의 수석 무용수를 일컫는 호칭입니다. 파리 오페라 발레단원에는 5등급이 있습니다. 처음 입단하면 군무(群舞)를 추는 '카드리유'로 시작하여, 이어서 군무에서 가장 앞쪽에 등장하는 '코리페'가 되고, 그 다음으로는 독립적으로 춤을 추는 '쉬제'가 됩니다. 거기서 승급하면 주연급의 '프르미네 당쇠르'가 되며, 당쇠르 중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으면 '에투알'로 지명됩니다.

드가의 에투알은 화려한 의상을 입은 발레리나가 홀로 넓은 무대 위에서 두 팔을 날개처럼 펼친 채 우아하게 한 발로 회전하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목을 뒤로 젖힌 무용수의 얼굴 표정이 생생하게 그려진 것을 보면 화가의 시선이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며 그린 그림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드가는 당시 공연장 특석에서 관람했다고 합니다. 한편, 이 그림 왼쪽에는 무대 뒤쪽으로 검은 양복을 입은 남자가 얼굴은 드러내지 않은 채 당당하게 서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야회복을 입은 것으로 보아 남자의 신분은 연출자나 공연관계자가 아니라 높은 지위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즉, 드가는 스폰서가 무대를 들락날락하는 당시의 사회분위기를 작품에 반영시키고자 한였던 것입니다.

드가는 발레의 주제로 발레리노를 그린 적은 없었습니다. 그는 발레리나에 관심이 있었고, 그들이 가진 무기인 몸이 환상과 환멸의 대상이 되는 현실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당시 발레란 직업은 여성들이 먹고 살기 위해서 선택한 것으로 발레리나들은 더 나은 생활과 더 높은 계급으로 진입하기 위해 필사적이었습니다. 재력가의 남성들은 이를 알고 접근해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19세기까지는 여성이 다리를 드러내는 미니스커트 입는 것이 금기시 되었으며, 다리가 훤히 드러나고 하체의 움직임까지 빤히 들여다 보이는 짧은 치마는 발레공연에서조차 논란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아주 뛰어난 수석 무용수 급이 되지 못한 대부분의 발레리나들은 현대사회의 창녀처럼 취급받기도 했습니다.

발레리나의 목에 감긴 검은 리본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일까요? 혹시 속박을 상징하려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드가는 거의 대부분의 작품을 발레리나의 그림으로 채웠지만, 그의 그림에 등장하는 발레리나를 주인공으로 클로오즈 업하여 그린 그림은 없어보입니다. 누가 누구인지 구분해내기 어려울 정도로, 인물표정 보다는 동작과 포즈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런 드가의 그림을 가리켜 고갱은 "드가가 그린 무용수는 여자가 아니라 평형을 유지하는 기묘한 선(線)이다."라고 평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 시선으로 <에투알>을 감상한다면 단지 아름다운 작품으로만 다가오지 않을 듯합니다. '사회'라는 구성원의 하나로 존재하는 생계의 고삐에 묶여있는 시대의 초상이 그림을 통해 전해지는 느낌을 받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Dancer in Green, circa 1878, Pastel on paper, 31 x 24 in. [the New Orleans Museum of Art]

 

"녹색 옷을 입은 댄서"는 녹색 드레스를 입고 공연을 준비하는 발레 댄서를 묘사한 에드가 드가의 유명한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미국 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의 뉴올리언스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Degas는 발레의 세계에 매료되었습니다. 따라서 그것은 그의 많은 그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이후의 많은 그림에서 무용수들은 무대 뒤에서나 리허설 중에 또는 공연 중에 등장하여 직업을 수행하는 전문가로서의 지위를 강조했습니다.

 

Fin d'Arabesque, with ballerina Rosita Mauri, 1877, Mixed media on canvas, 67 x 38cm [Musée d'Orsay.]
Two Dancers Entering the Stage, c.1877 - c.1878 [Fogg Museum (Harvard Art Museums), Cambridge, MA, US]
Dancer with a Bouquet of Flowers (Star of the Ballet) (also with ballerina Rosita Mauri ), 1878, pastel and gouache on paper, 81 x 66cm [Getty Center, LA]
Dancer with bouquet, bowing on stage, 1878, Pastel, 72 x 77.5cm [Musée d'Orsay]
Singers on the Stage, 1877~1879, Pastel, 12 × 16.9 cm [Art Institute of Chicago]
The Dance Studio, c.1878, Pastel and charcoal on blue-gray wove paper, 48.9 × 31.8cm [Private Collection]
The Star: Dancer on Point, c. 1877~1878, Gouache and pastel on canvas
The Star, 1879~1881, Pastel on cream wove paper, edge mounted on board, 73.3 × 57.4 cm [Art Institute of Chicago]

 

에드가 드가의 파스텔에 나타난 프리마 발레리나는 1870년대 후반 카탈루냐에서 파리로 이주해 파리 오페라에서 명성을 얻은 스페인 무용가 로지타 마우리(Rosita Mauri)로 확인됐습니다.

 

Ballet at the Paris Opéra, 1877~1878, Pastel over monotype on cream laid paper, 35.2 x 70.6cm [Art Institute of Chicago]

 

19세기의 가장 혁신적인 예술가 중 한 명인 에드가 드가는 종종 전통적인 기법을 색다른 방식으로 결합했습니다. 파리 오페라의 발레에서 드가는 당시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모노타입 기법'과 '파스텔'이라는 연약한 매체를 창의적으로 결합했습니다. "나비 날개 가루"로 묘사된 파스텔은 무대 위에서 깡마른 젊은 무용수들이 나비처럼 완벽하게 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완벽한 재료였습니다.

 

드가가 사용한 가장 넓은 모노타입 플레이트 중 하나에 그려진 이 작품은 드가의 특징적인 잘린 형태와 기묘한 지점을 지니고 있어 장면의 직접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오케스트라 피트에서 바라본 풍경으로, 더블베이스의 목이 무용수 구역으로 침범하고 있습니다. 중앙 무용수는 5번째 포지션인 앙 포앵트(en pointe)에 있지만, 무용수들의 자유롭게 흐르는 머리카락과 함께 코르 드 발레(corps de ballet)의 무작위적인 배치는 공연이라기보다는 리허설을 암시합니다. 파리 오페라는 1661년에 설립된 최초의 국가 지원 발레단인 로얄 드 당스 아카데미(the Académie Royale de Danse)의 공식 학교였습니다.

 

The Dance Lesson, c.1879, oil on canvas, 38 x 88cm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The Rehearsal, 1878-79, oil on canvas, 47.6 x 61 cm [The Frick Collection]

 

이 그림은 아마도 드가가 1879년 네 번째 인상파 전시회에 출품한 École de danse라는 제목의 캔버스일 것입니다. 그 당시 이 그림은 작가의 절친한 친구인 앙리 루아르(Henri Rouart)의 소유였고, 1912년 루아르가 죽은 후 드가의 다른 중요한 작품들과 함께 팔렸습니다. 프릭 씨(Mr. Frick)는 이 그림을 소유한 다음 개인이었으며, 1년 반 후에 이 그림을 인수했습니다.

<리허설>은 작가가 1870년대에 제작한 여러 발레 작품 중 하나로, 발레의 엄격한 규율이 ​​강요한 인체의 기계화에 매료된 듯합니다. 1879년 같은 전시회에서 드가는 바이올리니스트와 함께 연습하는 무용수의 두 장의 그림을 더 보여주었습니다. 이 그림에서 신원 미상의 음악가는 주변에 동떨어진 것처럼 보이는 무표정한 체구로 인하여 인형 같은 발레리나와 감동적인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계속)

 

 

 

 

 

 

300x250